총 369페이지

181페이지 본문시작

조선시대읍치마을,
에서 종족 마을은 종가 · 선영 · 재실 · 서당 등 여러 족적 기구들과 종토 등의 사회경제적
동서·상중리
토대를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한 마을에 살고 있던 이성 친족이나 방계 · 친족
1.마을공동체의과거와현재
의 지위가 감소되어, 이들이 점차 마을 조직에서 이탈함으로써 보다 완전한 종족 마을로의
2.조선시대읍치의구성과
위상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연숙(한국고전번역원)
신분별거주지
따라서 종족 마을은 종가를 중심으로 하는 결속력과 이를 통한 사회경제적 특권의 유지
3.일제강점기~해방이후
와 존속을 도모하여 조선 후기 다양한 문중 조직과 활동의 중심체 내지는 기초 단위로서 존
대흥의변화
재하였고, 이를 통한 특정 성씨의 마을 내 주도권은 더욱 강화되었다.
4.동서·상중리의문화유산
예산의 양반 종족 마을은 본격적인 학술 조사가 이루어지진 않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소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다만 조선시대 생원진사시 합격자 명부인 『사마방목』에 수록된
1.마을공동체의과거와현재
입록 가문과 1934년 일제가 조사한 『조선의 성(朝鮮の姓)』에 수록된 마을을 토대로 대략
가늠해 볼 수 있지만, 현재의 사정과 상당한 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통 시대 마을 공동체는 오랜 시간에 걸쳐 생산 노동, 여가와 휴식, 의례 등이 이루어지
생원진사시 합격자를 많이 배출하고 예산에 종족 마을을 이룬 가문은 대술면 방산리와
는 장이자, 민중의 일차적인 관계망이 형성 · 작동되는 기초 사회였다. 마을은 단지 대부분
봉산면 봉림리 · 사석리에 세거하는 한산이씨 가문, 신양면 귀곡리에 세거하는 창령성씨 가
의 사람들이 거주해온 정태적인 생활 공간이 아니라 내적 동력에 의해 공적 제도를 구축하
문, 예산면 간양리 · 화천리 · 농리, 봉산면 고도리 · 마교리, 대흥면 탄방리 등에 세거한 밀
고 고유 자원의 고갈을 방지하면서 사회적 운영 원리를 창출해 내는 지점이자 역사적으로
양박씨, 예산면 창소리에 세거한 경주김씨를 들 수 있다.
다양한 내용과 외연을 갖는 역동적인 공간이다. 또한 민속 · 의례 · 신앙 등 전통적인 문화를
생원진사시 합격자는 많이 배출하였으나 뚜렷한 종족 마을을 형성하여 일제가 조사할 시
만들어 온 문화의 공간이었다.
점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지 못한 가문은 울산박씨를 들 수 있다. 울산박씨는 여말선초에 불
마을은 지리적 위치, 가옥의 밀집도, 기능, 생업의 기반과 주민들의 씨족 구성에 따라 분
사이군 절개를 지키고자 낙향하여 대흥 광시면, 신양면 일대에서 세거하며 생원진사시 합격
류할 수 있다. 지리적 위치에 따라 산촌, 강촌, 해촌, 포구촌 등으로, 가옥의 밀집도에 따라
자를 11명 배출하였다. 이 숫자는 전체 울산박씨 배출 인원수에 90%에 해당한다.
집촌(集村), 산촌(散村)으로 마을의 기능에 따라 역촌(驛村), 진촌(鎭村), 도진촌(渡津村),
이와 반대로 생원진사시 합격자 배출은 미미하지만, 대흥, 예산, 덕산 일대에 종족 마을을
신앙촌, 사하촌(寺下村), 읍치마을 등으로, 생업의 기반에 따라 농촌, 어촌, 광산촌 등으로,
형성하여 주도권을 행사하였던 가문도 있다. 이들 종족 마을에 대한 그 가문의 입향 내력과
주민들의 씨족 구성에 따라 동족촌, 각성촌, 동족부락, 종족마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착 시기, 사환가들의 복거 양상과 실 거주자들의 가문 내의 위상 등을 심층 연구할 필요성
종족 마을은 특정 종족 집단이 대대로 거주하면서 마을의 구성과 운영에서 지배적인 역
이 있다.
할을 하고 있는 마을이다. 조선 사회는 17세기 중엽을 분기점으로 하여 주자가례의 보급과
또한 마을은 현재와 미래에 우리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와 자료들을 생산 · 수집할
예학의 발달로 종법적 가족제도가 수용되어 남귀여가혼이 반친영의 형태로 바뀌면서 거주
수 있는 현장이라고 할 수 있다. 마을에는 공동체 조직 및 운영과 관련된 동계 문서, 동약(洞
約), 농계(農契), 서당계, 송계, 그리고 친족 및 개인 자료인 친목계, 농사일기, 추수기, 족계
형태가 부계 위주로 변화되었고, 자녀 균분 상속에서 장자 우대 상속으로 변화되어 가부장 ·
적장자 중심의 부계 친족 체계가 정착되었다. 이에 따라 18세기 중엽 이후에는 종족 의식의
(族契) 등이 전해지고 있다. 그리고 민간요법, 일상 및 축제 음식, 통과의례, 마을 축제, 놀이
고취, 족원 수의 확대와 소종가계 조직인 종계의 출현으로 종족 마을이 형성되었다. 이 과정
문화, 친환경 농법 등 이른바 특화된 전문 지식들이 존재한다.
4.공동체사회와민풍
181
180
내포의뿌리예산학

181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