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9페이지

17페이지 본문시작

연구센터
부산학연구센터(2002)→부산학센터(2009)
다는 행정구역단위로 가는 것이 명실(名實)이 일치하여 사업 추진 등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2002
신라대
부산의지역성을밝히고지역발전방향을제시,
센터
살기좋은부산건설에기여
부산학
수 있다고 판단한 결과라고 해석된다. 이것은 지역학의 운영 기관이 대개 그 지자체 소속의
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10년중장기계획의산물
연구센터
2003
지역발전연구원이나 지자체 산하의 대학 연구소라는 사실로서도 입증된다. 예컨대 부산발전
(1992)재단법인
부산의정체성확립,삶의질향상연구
대구경북(개발)
연구원 소속의 부산학연구센터나 대구경북연구원 소속의 대구경북학연구센터, 그리고 서울
대구
대구경북의정체성확립과정신함양,
연구센터
2005
연구원(1991)
경북학
상생적통합적발전전략연구
재단법인
시립대 소속의 서울학연구소와 인천대학교(시립→국립)의 인천학연구원 등이 그것이다. 물
영남
지역
경남발전연구원
분야별학술자료의수집,
연구팀
2005
론 신라대학교의 부산학센터나 경상대학교의 경남문화연구원과 같이 소속 행정기관과는 무
(1992)재단법인
학술지발간경남브랜드화사업추진(2005)
경남문화
관하게 대학이 자체적으로 지역발전에 초점을 맞춘 지역학을 설립하여 연구하기도 하고, 경
경남학
경상대학교
「경남학연구」32집,2013.
연구원
북대학교의 영남학연구소, 한남대학교의 충청학연구소와 같이 지역발전 프로그램보다는 순
경남학에대한개념정립,심화,확산,동북아역사
연구센터
2005
창원대학교
재단,경상남도및시·군의위탁연구수행
수한 지역의 역사 문화나 지역의 인물과 사상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지역학도 존재하지만, 활
울산발전연구원
울산의정체성확립,
울산학
연구센터
2008
(2001)재단법인
울산시민의삶의질향상연구
동 면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은 역시 지자체 관련 연구소나 연구센터들이다.
호남문화연구소(1963년)와호남학연구(2005)의
현재 한국의 지자체 지역학을 선도하고 있는 것은 서울학(1993)이다. 서울학연구소는 학
통합(2008),전통문화를지역관점에서연구하여
호남학
연구원
2008
전남대
문화향상에기여하고,호남의문화자원을문화
술지 「서울학 연구」를 학술진흥재단 등재학술지 수준으로 간행하고 있고, 한국연구재단 중
콘텐츠화,창조적활용
·광주학콜로키움
점연구소로 지정되어 국가적 재정지원(연간 3억)을 확보하고 있다. 또 ‘아시아 각국 수도(首
호남
광주학
2015
광주문화재단
‘광주학무엇을할것인가?’(2015년)
지역
都) 연구’와 같은 학진연구사업을 통하여 연구 시각을 해외의 각국 수도에까지 넓히고 있다.
‘광주학어떻게할것인가’(2016년)
전북대
(저서명)
1997
지역학도서:「전북학」
또한 서울학연구소는 지역학 간의 정보를 교류하고 지역학의 역량을 키우기 위하여 ‘한국
전라문화연구소
전북학
(저서명)
2004
전북발전연구원
학술지:「전북학연구총서」
지역학 포럼’을 주최하고 있다. 2013년 전반기에는 부산발전연구원과 공동으로 제3회 대회
강원
강원발전연구원
강원학자료조사,데이터베이스구축
강원학
연구센터
2003
를, 후반기에는 전주박물관과 공동으로 제4회 대회를 개최했는데, 여기에는 10여 개의 한국
지역
(1994)재단법인
학술지발간,도내외의연구교류
1978년제주연구회로시작(서울거주민속,국문,
지역학 단체가 참여하였다.
(서울거주
학회
1997
고고학,문화인류학자중심),1997년제주학회로
연구자중심)
개편
한편, 부산발전연구원 소속의 부산학연구센터(2003)는 다각적인 면에서의 지역 연구를
제주
제주도의 역사 문화 등에 대한 조사 제주학 연구
제주학
연구소
1997
(지역연구자중심)
의욕적으로 추진하여 오고 있다. 그리하여 2011년에는 그동안 2003년부터 2010년까지의
지역
의활성화
학문적인프라구축,
부산학 연구 성과를 모아서 , , ,
연구센터
2011
제주발전연구원
학문과실천의장조성
(지역을넘어세계로향하는제주학)
구>, 등으로 구성된 『부산학 연구성과 자료집』을 간행하였다. 특히
학 교양총서>에는 부산인의 다양한 일상 생활사를 담은 연구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어서 돋
충청학과 같이 전통시대의 통합 행정구역명을 따라 쓴 경우는 1건에 그치고 있다. 이에 비
보인다. 그리고 대구경북학연구센터(2005)에서는 특히 『창조의 멘토 33인』, 『사회정의 멘
하여 전체의 80%는 현재의 행정구역명을 딴 지역학 이름을 쓰고 있다. 현대 한국 지역학의
토 33인』 등의 인성교양도서를 지역학과 연계지어 간행 보급하고 있어서 주목된다.
이름은 소속 행정구역명을 따서 붙이는 것이 대세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마도 이것
(2)기초지자체의지역학
은 현대적 개념의 지역학이 ‘지역(행정구역별)의 정체성 정립과 지역발전’이라는 틀에서 추
진되고 있는 때문으로 보인다. 즉 지역발전을 염두에 두고서 보면, 지역학도 학술적 연원보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지방화시대의 정착과 세계화의 추
1.지역학
17
16
내포의뿌리예산학

17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