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6페이지

164페이지 본문시작

이후 고려 광종기의 중창을 거쳐 사찰은 비교적 규모 있는 것으로 잔존되어 왔지만
병란으로 말미암아 사찰이 전부 불에타서 없어지고 단지 불상 한 구만 잔존되어 왔었는
데 권씨 등에 의해 새로이 사찰이 조성되었음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한편 사찰 내에 고려시대 양식인 석조여래입상이 있다. 용담사 주변으로 많은 기와편
이 수습되고 있는데 기와편은 고식의 것이 있어 주목된다. 수습된 기와편을 보면 종류
는 비교적 다양한 편이다. 태토는 비교적 거친 것과 일부는 정선된 것도 있고, 거친 태
토를 사용한 기와는 흑회색의 색조에 투박한 것으로 다양한 조합문을 배면에 시문하고
있다. 그러나 태토가 고운 것 중 일부는 회흑색의 색조를 지니고 있으면서 정교한 형태
가 있는데 이들 기와편에는 격자문이 시문되어 있어 고식의 것임을 알게 한다.
160
온양·아산의 문화재

164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