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4페이지

16페이지 본문시작

받았다. 마을별로 관평리 16명, 동화리13명, 거
시에 총독의 유고와 각종 회의를 통하여 운시,
산리8명, 역촌리와 송학리 각각 2명으로 5개리
경고 및 경령 등을 통하여 회유를 시도하면서 언
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관평리와 동화리 주민
론에 대한 통제도 실시하였다.
들이 29명으로 전체 70.73%를 차지하고 있다.
3·1운동 발발 때부터 시작된 일제의 무력적 진
따라서 송악에서 독립만세운동은 5개 리에서 횃
압은 3·1운동이 점차 지방으로 확산되므로 3월
불만세운동으로 전개됐다. 특히 태형 정도와 태
7일에 첫 위수 지역을 벗어난 병력 이동으로 더
형자의 수를 고려하면 관평리와 동화리 및 거산
욱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리에서는 격렬한 횃불만세운동을 전개한 것으로
이에 일본 육군차관은 3월 8일자 조선헌병대사
보인다. 이어 다음날인 4월 1일에는 탕정, 염치,
령관에게 통첩을 보내어 신속한 대응과 사전 예
배방 외에 온양과 둔포에서 횃불만세운동을 전
방에 주력할 것을 강요하였고, 일본 원경수상도
개했다.
조선총독에게 지령을 보내어 엄중한 처치를 지
둔포에서는 운용리의 마을 주민들이 횃불을 올
시했다. 이 무력적 진압정책은 4월 1일에 이르러
리고 독립만세를 불렀으며, 당시 일본인 소유인
극에 달하에 됐다. 조선주차군사령관은 통달을
광혈 20여 개소를 파괴하는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통해“군대는 단연 소요의 강압수단을 사용한
4월 2~3일에는 영인에서의 횃불독립만세 외에
다”
는 공식적인 지시를 내리는 한편 독립만세 군
인주 공세리와 걸매리 및 둔포 등의 해안지역에
중을 위복시키려 하였으며, 이에 고삐가 풀린 것
서 일제히 횃불을 올리고 독립만세를 부르는 만
처럼 일제의 탄압은‘광기’
를 띠게 됐다.
세운동을 전개했다.
일제는 조선주차군 보병, 헌병 경찰과 경찰 보조
이상과 같이 아산지역의 3·1운동은 3월 중순인
원뿐만 아니라 재향군인, 소방대, 거류민단 등
11일부터 12·14·15일까지 제1차 독립만세운
각종 단체와 일본 민간인까지 동원하여 무력적
동과 3월말, 4월 초순인 3월 31일부터 4월1일
진압을 자행했다. 또 이를 위하여 일제 군경들은
~4일까지 제2차 독립만세운동으로 9일에 걸쳐
집중 배치체제로 전환시키고 관할 위수지역을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이 있었다.
변경하는 조치를 취했다. 이외 일제는 일본 국내
주둔군 병력을 4월 4일 강의에서 헌병 약65명과
■ 3·1운동에 대한 일제 탄압
헌병 보조원 보병 약350명 및 보병 6개 대대를
(1) 일제의 대응
조선에 파견하기로 결정하여 3·1운동을 진압하
기 위한 무력을 증강했다.
일제는 3·1운동을 한국인의 민족운동으로 인식
하지 않고 자신들의 식민지 지배 체제에 대한 도
(2)일제의 탄압실상
전으로 받아들였다.
이는 식민지 지배 당국인 조선총독부 뿐만 아니
우선 조선총독은 3월 12일 보병 80연대를 충남
라 공정보도를 생명으로 하는 언론 기관조차도
북, 경남북과 전남북에 분산 배치로 3·1운동에
그러하였다. 그러나 3·1운동 초기에 일제 정부
대한 막적 진압을 시도했다.
는 별도의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고 조선총독에
충남 지방에서 병력 이동은 도청의 요청으로 3
게 일임하고 있었다. 조선총독부는 3·1운동의
월 15일 평안도 철도보호대에서 아산에 장교 이
발발부터 강력한 무력적 시위와 진압을 하는 동
하 10명이 파견되고 온양에도 하사 이하의 병력
16 |
아산타이딩
A-san of Tidings

16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