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81페이지

16페이지 본문시작

염치읍의 문화재를 보면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제
76
호인 이충무공 난중일기 및 임진장초 서
간첩이 현충사에 있으며 보물 제
326
호인 이충무공 유물 역시 현충사에 보관되어 있다 그
리고 사적지 제
155
호 이충무공 유허가 백암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지정 문화재로는 문화
재 자료 제
231
호인 세심사 다층탑 산양리
311
호인 홍가신 선생 교지가 사당 대동리 에
보존되어 있다.
8)
영인면
본래 아산군
현내면
의 지역으로 상불
관대
官垈
성대
송충
운정
신중
동현
신천
통산
상리
하리
월견
14
개 리를 관할하다가
1914
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일북면
의 금성
도곡
道谷
내동
內洞
3
의 구산
신언
신성
백석포
철봉
백치
신문
신대
안화
여사
역동
와우
용동
용서
창정
15
개 리와 신흥면
의 신성리
를 병합하여 이 지역 남쪽에 있는 영인산의 이름을 따서 영인면이
라 하여 아산군
에 편입되어 구성
백석포
상성
성내
신운
신현
신화
아산
역리
와우
월선
창룡
13
개 리를 관할하고 있다 행정구역은
13
개의 법정리와
31
개의 행정리로
나뉘어 있다 인구는
7,700
여 명이며 총
2,400
여 세대를 이루고 있다
동쪽은 둔포면
과 음봉면
남쪽은 음봉면
염치읍
서쪽은 인
주면
북쪽은 바다를 건너 경기도
京畿道
평택시
현덕면에 닿아 있다
영인면의 몇 가지 현황을 더 알아본다.
가 산지
....
1)
고용산
영인면 성내리 신화리 신봉리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295.7m
인데 초목은 없고 큰 돌
만 많으며 산봉우리가 들 가운데 높이 솟아 있어서 사방을 내려다 볼 수 있다 병자호란 때
근처의 남녀들이 모두 이 산에 올라와서 피난하는데 적병들이 사방을 에워싸고 올라오는 것
을 돌로 내리쳐서 완전히 물리쳤다고 한다 선조 때 토정
이지함
이 아산 현감
이 되어 선정을 베풀어서 백성들을 구하였다 하루는 심심하여 통인을 데리고 이 산에 올라
와 통인을 시켜 여러 바위를 들어봄에 그 속에 금 은이 가득가득 차 있었는데 이것을 본
통인은 욕심이 나 이토정을 죽이고 혼자 차지하려고 마음먹었다 이토정이 가끔 생지네즙을
마시고 생율을 먹어 지네 독을 제하는 것을 알고 어느 날 이토정이 생지네즙을 마시자 생
율 대신 버드나무를 생율같이 쳐서 드리자 이토정이 그 자리에서 죽었다 그러고 난 후 이
산에 와서 살펴본 즉 아무 것도 없었다고 한다 이로 인하여 우리나라 아전 중에서 아산 아
전이 가장 천대를 받았다고 한다.
2)
금산
영인면 아산리 성내리와 음봉면 신수리 어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285m
이다 돌로 쌓은

16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