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9페이지

157페이지 본문시작

(2)경학과예학에밝은이병휴
자, 이황, 김장생 등 한중 예설은 물론 당시 속례(俗禮)까지 참고하여 자신의 견해를 정리하
이병휴(李秉休, 1710~1776)의 자는 경협(景協)이며, 호는 정산(貞山)이다. 덕산현 장천
여 입론하였다.
리에서 태어난 그는 성호 이익의 조카이면서 고제이다. 그는 13~4세 때부터 동생 이맹휴와
묘는 고덕면 상장리에 있었으나 현재는 후손들이 강원도로 이장하였다. 그의 저술은 『정
함께 이익의 문하에 나가서 학문을 닦았다. 그는 과거를 통해 정계 진출하려는 꿈을 접고 재
산시고(貞山詩稿)』, 『정산잡저(貞山雜著)』, 『관혼례(冠婚禮)』, 『상제례(喪祭禮)』, 『상제례
야에서 학문 탐구에 전념하려는 뜻을 세웠다. 그는 이익에게 학문을 전수받고 계승하는 데
보(喪祭禮補)』, 『잡기(雜記)』, 『성호선생예설(星湖先生禮說)』, 『대학심해(大學心解)』 등
일생을 보냈다, 1763년 이병휴는 예산의 덕산으로 본거지를 옮겼다. 이곳에서 그는 성호 이
다수가 있다. 문학, 경학, 예학 등에 밝은 그의 면모를 알 수 있다.
익의 유고 정리를 주관하였고 권철신, 이기양 등에게 학문적 영향을 크게 주었다.
(3)강호자연을읊은이삼환
평생 선비로 살아간 이병휴는 다수의 한시 작품을 남기고 있다. 그의 시집인 『정산시고』
는 2권 2책으로 총 229제 348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시들 중 1권에 37제 114수, 2권에 26
이삼환(李森煥)의 호는 목재(木齋) 또는 소미(少眉)이며, 자는 자목(子木)이다. 경기도
제 67수 총 63제 181수가 연작시이다. 연작시가 그의 시 작품 중 52%에 해당한다. 이는 그
안산 첨성리에서 죽파 이광휴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성호 이익에게 학문을 사사 받았다. 그
의 한시 작품이 가지는 형식적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우화시 양식을 활용하여
는 성호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으면서 경전의 깊은 뜻과 예문의 절차 등을 심오하게 연구하
사회시를 창작하는 데 능하였다. 목민관이 갖추어야 할 자세나 농민의 참상을 읊은 시는 그
였다. 성호는 그의 학문적 열정을 알고 별장을 주고 거처하여 왕래하며 강학하는 데 편리하
의 애민정신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실학적 기반을 둔 그의 시 세계는 성호학파 여주이씨 가문
도록 배려해 주었다. 성호는 그가 벼슬길보다 학문에 매진하기를 바랐다. 그러나 그는 가문
에서 보이는 보편적인 시 창작 경향과 동일선상에 있다. 이는 그의 시풍은 가문 중심의 문학
을 일으키려는 목적으로 과거 시험에 뜻을 두었다. 이삼환이 벼슬길에는 오르지 못했지만
적 영향이 큼을 말해준다.
문학적 명성은 자자하였다.
이병휴는 문학보다는 경학(經學)과 예학(禮學)에 밝은 학자였다. 그는 주자의 『대학장
이익은 이삼환에게 “독서의 요령은 깊이 고찰하고 스스로 터득하는 데 있다.”고 가르쳤
구』를 가장 좋은 주석서로 인정하는 한편 고본(古本) 대학을 가지고 비교하면서 의문점을
다. 이익은 다독이나 암송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고 깊은 사색과 자득을 통한 공부 방법
가지고 있었다. 그 의문 중의 하나가 고본에는 왜 격물치지장이 없는가 하는 점이었다. 주자
을 중시했다. 안산에서 이익의 문하에서 수학하던 이삼환이 이병휴의 호적에 입양되면서
가 『대학장구』에서 격물치지장이 본래 있었는데 유실되었다고 여기고 글을 지어 첨가하였
덕산의 장천으로 이사해 왔다. 덕산에서 여생을 보낸 그는 포부를 펴지 못한 답답한 심정을
다. 그래서 후학들이 주자의 『대학장구』를 읽으며 격물치지장이 과연 필요한가에 대해서 끊
달래고자 꽃과 나무를 가꾸거나 친구들과 술을 마시며 시를 읊기도 하였다. 때론 주변의 승
임없이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이병휴는 고본 대학을 연구한 결과 착간(錯簡)이나 유실
경지를 유람하며 시를 읊어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 만년에 지은 작품으로 보이는
磯]>를 보기로 하자.
(遺失)이 없다고 확신하고 분장(分章)을 다시 하였다. 즉 주자가 경일장(經一章) 전십장(傳
十章)으로 분류한 것에 비해 이병휴는 경일장(經一章) 전오장(傳五章)으로 분류하였다. 이
千頃波心??絲
와 같이 고본 대학에 입각하여 분장을 다시 하고 해석도 주자와 달리 하였다.
찰랑대는물결속에드리운낚싯줄
苔磯坐到夕陽時
또한 그의 예학은 이익의 영향이 가장 크다. 이익이 세상을 떠난 뒤에 그는 평생 동안 예
해질녘까지이끼낀돌에앉았네
翁心自有悠然趣
서를 정리하는 데 모든 정성과 온 힘을 쏟았다. 그가 편찬한 관혼상제에 대한 예설은 모두
늙은이마음속엔한가한취미있으니
遮莫遊魚上釣遲
스스로 지은 것이지만 논란이 필요한 중요한 설은 모두 이익의 설을 가지고 정설을 정하였
물고기노는데낚시더뎌도어떠리
다. 상례(喪禮), 제례(祭禮)의 경우 예기, 의례, 주자가례 등 각종 예서를 비롯하여 정자, 주
3.선비의고장,예산
157
156
내포의뿌리예산학

157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