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페이지

158페이지 본문시작

대한민국 예술원상, 대한민국문화훈장,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등을 수상했고 국내외에서 20회의 개인전을
열며 열정적인 활동으로 미술 문화 발전에 공헌했다.
초기의 사실적 경향, 장년기의 추상적인 변모를 거쳐 노년에 다시 구상을 특징으로 하며 1962년부터
1971년까지의 추상화 시기를 제외하고는 주로 인물과 풍경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1975년부터 그가 지
속적으로 주제로 한 것은 산(山)이다. 그는 만년에 고향에서 조용히 작품 활동에 전념하기 위해 1997년 6
월 14일에 아산시 송악면 외암2리에 당림 미술관을 열었다. 이 미술관은 현재 동양화·서양화·판화·조
각 등 1,000여 점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야외 조각공원과 갤러리도 있다. 그는 2003년에 미수전(88
세 기념전) 준비 중 안타깝게 세상을 떴다. 그의 호인 당림(棠林)은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이 지어준
것이다. 묘는 천안공원묘원에 있다. 당림 미술관은 현재 차남인 이경렬 관장이 운영하며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19] 조영출
趙靈出
<1913. 1. 10 ~ 1993. 5. 8>
아산 출신의 근·현대 시인·연극인·극작가·대중음악 작사가이다. 본관은 양주(楊州)이며 아버지는
조경희, 어머니는 조희정이다. 본적은 양주 조씨 세거지인 아산군 탕정면 매곡리이며 영인면 아산리에서
출생했다는 설도 있다. 본명은 영출(靈出)이지만 명암(鳴岩)으로도 널리 알려졌고 예명도 이가실(李嘉實)
외에 김다인(金茶人)·김운탄(金雲灘)이라는 이름도 사용했다. 북한에서는 조령출로 발음한다.
아버지가 일찍 사망하고(독립운동을 했다고 전해짐) 집안 형편이 어려워서 어머니와 고향을 떠나 서울
에 잠시 머물다 절에 들어갔다. 어머니는 안변 석왕사(법명-묘심), 그는 고성 건봉사로 출가했다. 중연(重
連)이라는 법명으로 승려 수업을 하면서 절에서 세운 봉명학교에서 소학교와 중학교 과정을 배웠다. 1931
년 4월에 한용운의 추천으로 불교계가 운영하는 보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서 1935년에 졸업했는데 그
는 이 기간에 시작(詩作) 활동을 시작했다. 1932년 11월, <신동아>에‘이 동굴을 거니는 자여’
를 발표했고
이듬해부터 활발한 창작 활동을 전개해서 마침내 1934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동방의 태양’
으로 정
식 등단했다. 한편 방학 기간에는 연극을 통한 농촌 계몽활동을 전개하기도 했다. 1935년 4월에 일본 와
세다(早稻田)대학 불문과에 입학했다. 이 즈음부터 모더니즘적 경향의 보이기 시작했고 방학을 이용해서
건봉사와 봉명학교에 들러 문학이나 연극을 지도하기도 했다. 1941년에 대학을 졸업한 뒤에도 주로 건봉
사에 머물렀으며 2년 뒤인 1943년 2월 8일에 장옥경(일설 장연옥)과 결혼했다.
그는 1930년대 초부터 가요도 작사하기 시작했다.
‘바다의 교향시’
(1938.7),
‘꿈꾸는 백마강’
(1940.11),
‘선창’
(1941.7)과, 그 밖에도‘신라의 달밤’
‘알뜰한 당신’
‘목포는 항구다’
‘화류춘몽’
‘고향초’
‘낙화유수’
‘진주라 천리 길’등 전설적인 가요 약 500곡을 작사해서 박영호(월북)와 쌍벽을 이루었다.
한편 그는 영화‘그대와 나’
의 주제가, 대표적인 친일가요인‘아들의 혈서’
‘결사대의 처’
‘혈서지
원’
‘2천5백만의 감격’등 9곡을 썼고,
‘승리에의 길’
(1944)이라는 친일 연극의 각본을 쓰기도 했다.
1945년 해방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좌익 성향의 활동을 시작했다. 조선프롤레타리아문학동맹과 조선프
롤레타리아연극동맹에 참여하여 중앙위원이 되었다. 이어 통합된 조선문학가동맹에도 참여하는 한편 조
선연극동맹의 부위원장을 맡았다. 그해(1945) 말에 김일성의 항일 무장 투쟁을 표현한 연극‘독립군’
157

158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