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28페이지

155페이지 본문시작

나무는육지에서구입하여사용하였다.원산도에서는김양식으로많은소득을올릴수있



었고,집집마다양식하였다.


그러나 1979년을 마지막으로 김 양식을 하지 못했고, 마을 앞에서의 양식이 없어진 뒤

로는3~4가구가마을남쪽,해수욕장앞에다부유식으로양식하다가그만두었다.이로써
원산도의김양식은끝났다.
1979년김양식이끝난후말뚝과김발을바다에그대로방치하여문제되었다.수협에서
는오염을방지하기위해품삯을주고정비하였는데,잘이루어지지못했다.
샘이있는논에만못자리를
지하수를개발하기전,원산도에서는물이귀해아무논이나못자리를할수없었다.샘
155
(둠벙)이 있는 곳에 못자리를 하였다. 날이 가물면 둠벙의 물을 바가지로 퍼내어 모를 길
렀다. 화학비료도 없어 인분을 못자리에 내기도 하였다. 인분을 바닷물과 섞어 썪혀 못자
리에 뿌렸다. 모내기도 비가 와야 할 수 있는 일이었다. 어떤 해에는 장마가 시작된 초복
때모를심었다.
논의거름으로나뭇잎을베어넣었다.
옛날 비료가 없던 시절, 논의 거름으로 산에서 풀이나 가랑잎을 베어다 넣었다. 가랑잎
을넣은논은물이새카맣게되었다.거름이귀했어도해초를뜯어다넣지는않았다.해초
는거름이되지않았다.
쌀이나보리를빌려주고50%의이자를
어려운 시절, 식량이 없는 집에서는 쌀이나 보리를 얻어먹고 다음 해에 갚았다. 식량을
얻어먹고갚으려면50%의이자를내야했다.쌀1가마를얻어오면15말을갚아야했고보
리도마찬가지였다.이런것을‘장리’라고하였다.
어려운시절고구마가식량이었다.
원산도에는 논보다 밭이 많았다. 흉년이 들었을 때 밭에 심은 고구마는 긴요한 식량이

15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