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9페이지

155페이지 본문시작

2)여주이씨의예산정착과문학활동
체로 청렴함과 공정함을 중시하였다. 이런 실천 덕목이 그의 시에는 애민과 치민 정신으로
잘 형용되어 있다. 특히 목민관으로서 해야 할 직무나 백성을 다스리는 방도를 시로 읊었다.
조선시대 여주이씨의 세거지는 대략 경기도 안산, 강원도 원주, 충남 예산의 고덕 지역 등
다음 시를 읽어보기로 한다.
의 세 곳이다. 여주이씨의 고덕(古德)과의 인연은 이하진(李夏鎭)과 이명진(李明鎭) 형제
人生無別法
가 이 지역에 거주하는 용인이씨와 혼인하면서 시작하였다. 이명진은 고덕에서 가장 먼저
인생이별것이없으니
着衣與喫飯
정착했다. 1680년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조정에서 축출될 때 형 이하진은
옷입고밥먹으면그만이지
爲治無異術
허목을 두둔하다 숙종의 진노를 사서 운산에 유배되어 1682년에 귀양지에서 세상을 떠났
다스림도특별한방법이없으니
使各得其願
다. 그리고 갑술옥사 때 남인들이 대거 정계에서 퇴출되었다. 이런 계기로 이명진은 양근군
각자원함을얻게할뿐이지
(惠詩集권8,奉送蔡大夫出按北藩제10수)
수(陽根郡守)를 사직하고 고덕으로 이주하였다.
고덕으로 이주한 이하진과 이명진의 자손들은 경기도 안산에 가서 성호 이익에게 학문을
익히고 돌아왔다. 이익은 안산에서 집안 조카와 손자들을 모아 교육하고 있었다. 이광휴(李
이처럼 이용휴의 시는 현실을 직시하여 백성의 애환을 노래했을 뿐만 아니라 목민관의
廣休), 이용휴(李用休), 이병휴(李秉休) 삼형제도 그곳에 가서 성호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
소임을 읊은 작품이 많다.
혔으며, 이광휴의 아들 이정환(李晶煥), 이철환(李哲煥), 이삼환(李森煥)도 성호 문하에서
또한 이용휴는 산문에서 사대기서(四大奇書)의 현묘함을 추구했다. 유만주의 평가를 보
수학한 후 고덕으로 돌아왔다. 이병휴와 이용휴의 자손들도 그러하였다. 그래서 예산 고덕
면 이용휴에게는 장서가 많았는데 모두 기이한 문장과 특이한 서책이며 평범한 책은 한 질
에 자연스럽게 남인 실학의 중심인 성호학파가 형성된 것이다. 이는 성호 실학에 있어서 예
도 없었다고 하였다. 이용휴가 기이한 문장을 추구한 이유는 그의 천성에서 기인된 것이다.
산 고덕이 중요한 지역임을 의미해 준다.
그의 소품문은 문장의 길이가 짧으며 서사 구조도 단순하다. 대개 예를 들면
(杏嶠幽居記)>는 87자이며, 는 106자로 되
(1)재야의문형,이용휴
어 있다. 이처럼 하나의 작품이 단문으로 되어 있으며, 글자가 간이(簡易)하여 간결한 문체
이용휴(1708~1782)는 호가 혜환(惠?), 자는 경명(景命)이다. 그는 어려서 작은아버지
를 추구한 특징이 있다. 그의 문장에서 ‘지(之)’나 ‘이(而)’ 같은 글자를 거의 사용하지 않은
인 성호 이익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성호학파를 대표하는 학자이면서 동시에 문학에도 뛰
사실이 이를 증명해준다.
어난 시인이었다. 그를 두고 정약용은 30년 동안 재야의 문형을 담당했다고 했으며, 김택영
이용휴는 문자학이나 서화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그는 문장을 잘하기 위해서는 문자학
은 연암 박지원 시단과 함께 기이하고 첨신(尖新)한 시풍을 주도했다고 평가할 정도로 이용
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서법 책이나 이름난 그림을 옆에 두고 감상한 것
휴는 문학적 역량이 뛰어난 사람이었다. 이처럼 그는 연암 박지원과 당대 문단을 주도했을
도 문장을 짓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다. 그는 옛날 법서, 명화, 이향가묵을 바라보고 감
정도로 문학에 뛰어났다.
상하는 것이 속인을 상대하고 세속의 일을 말하는 것보다 즐겁다고 했다. 그는 안견(安堅),
이용휴는 다수의 한시 작품을 남기고 있는데 파격적인 구성과 실험성이 강한 특징이 있
김명국(金明國), 김홍도(金弘道), 주번(朱番), 동기창(董其昌) 등 한중 화가의 그림과 서예
다. 그는 풍월이나 취흥을 읊기를 지양하고 현실에 기반을 둔 사실적인 시풍을 추구하였다.
작품을 비평한 사례도 많아 서화 비평가로서의 안목도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맹목적으로 당시(唐詩)를 모방하는 풍조를 비판했으며, 자신의 개성이 살아있는 문학을 강
그의 저서로는 『혜환시고(惠豈詩稿)』 2책, 『혜환잡저(惠豈雜著)』 11책이 필사본으로
조하였다. 그는 선비로서 효제충신(孝悌忠信) 등을 실천 덕목으로 강조하였고, 목민관의 요
전해오고 있다. 묘소는 고덕면 상장리에 있었지만 후손이 강원도로 이장해 갔다.
3.선비의고장,예산
155
154
내포의뿌리예산학

15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