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페이지

156페이지 본문시작

쟁 중에는 종군화가 단장을 맡기도 했다. 1956년에 대한미술협회 위원장에 선임되었고 이듬해부터 국전
작가들의 재정비를 추진하여 1958년 목우회(木友會)를 창립하고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1962년에는 홍익
공예고등전문 교장, 다음 해부터 홍익대학교 교수·학장을 역임했다. 1971년 정년퇴임한 뒤 이듬해까지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을 지냈다. 이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이사와 1975년 한중예술협회 회화분과 위원장
등을 역임하다가 미국으로 이민해서 그곳에서 타계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서양화가 중 한 명으로 미술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러한 공로로 서울특별시문화상, 국민훈장모란장 등을 받았고《꽃다발 있는
정물》등 다수의 작품과 저서《고등미술》
등을 남겼다.
[16] 이민우
李敏祐
<1905. 10. 2 ~ 1982. 10. 10>
아산시 음봉면 월랑리 출신의 경제인 겸 정치인이다.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현재의 보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대학교 경제학부를 나왔다. 해방 전의 활동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950년에 서울수산시
장(주) 취체역(이사) 사장에 이어 서울제빙(주) 취체역 사장을 지냈다. 그해에 서울상공회의소 위원과 대
한상공회의소 특별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1952년 (사)한국도매시장협회 회장과 서울지방법원 인사조정
위원, 1954년에 동양제빙냉장(주) 사장, 1955년 흥산증권(주) 사장, 1956년 (사)대한증권협회 감사, 1957
년 한국연합증권금융(주) 감사역, 1958년 (사)한국냉동협회 회장 등을 거쳤다.
그러다가 정계에 들어가 1958년 총선에서 당시 아산군에서 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제4대 국회의원
(1958.5.31~1960.7.28)으로 당선되었다. 이후 흥국건업(주)의 대표이사를 지내다가 다시 민주공화당으
로 아산군에서 출마하여 제7대 국회의원(1967.7.1~1971.6.30)으로 선출되었다. 이듬해에 한성(韓成)프
리웨브(주)의 대표이사가 되었다.
[17] 이영진
李寧鎭
<1908. 8. 7 ~ ? >
충남 서산군 태안면(현재 태안군 태안읍) 남문리 출신이며 아산에서 오랫동안 거주했던 사업가 겸 정치
인이다. 1929년 4월 1일에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제국대학교 농학부 농과에 특별생으로 들어가 1933년
3월 31일에 졸업하였다. 귀국한 뒤 주식회사 수농단사(壽農團社) 사장(1933.4.1~1939.9.30)을 역임했고
경성건물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사장이 되었으며 삼환(三還) 합명회사 사장도 지냈다.
해방 이듬해인 1946년 5월 22일에 현재 아산중학교의 전신인 온양농예중학교를 세우고 이사장직에 취
임했다. 이때를 전후하여 그가 온양 용화동 너더리에 들어와 살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1948년 대한민
국 정부 수립 직후에는 초대 충청남도지사(1948.10~1951.12)를 역임했으며 천성이 후덕하고 매사에 신
중하여 지역민들의 신임을 받았다고 한다.
한편 온양농예중학교는 1951년에 아산중학교로 이름을 바꾸게 되었으며, 1952년에 재단법인 제음학원
(除陰學院. 일설 저은학원), 학교법인 아산학원으로 인가받고 오랜 기간 동안 그가 이사장직을 수행하였
다(1952.8.18~1970.10.19). 그의 후임은 이태섭 이사장이다.
155

156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