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페이지

13페이지 본문시작

326
)?화훼(
)?매죽(
)?노안(?안)?누각(?閣)?말?의장도(
) 등 다양한 소재를 그렸다.
안견이 남긴 작품은 기록들에 상당수가 보이나 그 중에서 연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1443년의
「이사마산수도(
, 1445년 이전에 그려진 것으로『보한재집』
에 기록되어 있는「팔경도
( 景 )」등 30점, 1446년과 1447년에 제작된「팔준도(
, 1447년 이전에 그려진「임강완월도
( 江
, 1447년에 제작된「몽유도원도」
, 1448년(세조 10)에 그려진「대소가의장도(
, 그리고 1464년에 중국사신을 위하여그린「묵죽도(
)」등이 대표적이다.
안견의 작품으로 전해오는 여러 그림들 중 가장 큰 작품은 적벽도이다. 적벽(
)은『삼국지연의』
나오는 적벽대전이 일어난 곳이자, 중국 북송대의 문장가였던 동파(
) 소식의「적벽부」
의 배경이
된 곳으로, 중국에서 이를 주제로 한 유사한 그림이 많이 전해온다.
(몽유도원도)
그러나 이 작품들은 모두 없어져서 오늘날 전해지지 않고 오직「몽유도원도」
만이 유존하고 있으며,
이밖에「사시팔경도」등이 그의 작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그림들은 경물들이 흩어져 있으면서도 서로
조화를 이루는 구도상의 특색을 비롯하여 공간개념과 필법 등에서 한국적인 특징을 짙게 띠고 있다.
1447년(세종 29) 음력 4월 20일 안평대군이 꿈속에서 박팽년(
年, 1417~1456) 등과 함께 노닐
었던 도원(
)의 광경을 안견에게 그리게 하였는데 안견은 3일만에 그림을 완성하였다. 발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안평대군이 꾼 꿈은 중국 동진(
)때 시인인 도잠(
, 365~427)의 도화원기(
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몽유도원도는 곽희파 화풍을 토대로 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 화풍의 영향을 바탕으로 하여 독자적인
자신만의 화풍을 형성하여 후대에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
몽유도원도에서 두드러지는 안견의 독창적인 면모를 살펴보면 먼저 일반적인 두루말이 그림과는
반대로 그림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어 가는 독특한 화면구성을 들 수 있는데,
화면의 좌측 아래쪽에서 우측 위로 대각선을 따라 현실세계와 꿈속의 세계를 효율적이고도 치밀하게
배치하였다. 또한 평원(
)과 고원(高 )의 대조를 통해 산세(
)의 웅장함과 환상적인 느낌을
더욱 고조시키고, 넓게 펼쳐진 도원(
)을 강조하기 위해 다른 부분과는 달리 이곳만 조감도법( 瞰
1
3
http://seosan.cult21.or.kr

1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