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1페이지

149페이지 본문시작

정도의 길이에 걸쳐 제법 원형을 유지 하고 있는 성벽이 남아 있는데 여기에서 보면 성벽은
내고
2m
안팎 외고
3-4m
를 유지하고 있으며 상부의 성폭은
2m
내외다 이곳에서 동쪽으로
50m
쯤 가면 성벽은 다시 한번 직각으로 꺽어지면서 동쪽으로 연결되고 있다 그러니까 성
은 전체적으로 오각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이처럼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꺽
어진 북벽에는 양쪽 북벽을 이등변으로 하여 삼각형의 높은 태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현재 오각형의 꼭지점에 해당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동서로 각각
16m
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는
데 성내의 주변보다 약
2m
정도 높게 되어 있다 현재로서는 이 태지의 성격을 단언하기 어렵
지만 이곡에 오르면 성의 전후좌우를 한눈에 조명할 수 있어 이와 관련된 시설이 있었던 것으
로 여겨진다.
물론 지금 현재의 모습이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는 성내
전체가 과수원으로 경작되고 있는 데에서도 쉽게 짐작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얼마간의 변경이
있다손 치더라도 지금 있는 태지가 후대에 만들어 졌다기보다는 원래부터 이곳에는 이와 비슷
한 태지가 조성되어 있었다고 보는 편이 옳을 듯하다 이 곳에서부터 동쪽으로 연결되고 있는
북벽은 대체로 내고
2.5m
외고
3m
안팎 성벽 상단 폭
2m
를 유지하고 있어서 서쪽 북벽의 모
습과 비슷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 북벽도 동벽과는 직각으로 만나는데 이 북벽과 동벽이 만
나는 부분에는 현재 약
2m
의 폭으로 성의 내외를 연결하는 소로가 나 있다 이 소로가 원래부
터 나 있던 성문인지 아니면 후대에 동해를 위해 만든 것인지는 확실히 알 수는 없지만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상태와 지형 등을 감안 해 볼 때 이것이 원래의 문지는 아니라고 판단된다.
동벽은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그러나 성내는 과수원 경작으로 인해 원래의 모습을 많이
잃고 있다 성벽의 외고는 현재
6m
내외이며 내벽은
2m
내외로 남아 있다 성의 기저 폭은
6m
정도이고 상부의 폭은
2m
내외다 동벽의 중간 쯤 되는 지점에 성의 내외를 연결하는 통로
가 하나 나 있다
.? 4m
의 폭으로 성벽이 끊겨 있는데 지금의 모습은 후대에 성의 내외를 연결
하기 위해서 인위적으로 뚫어 놓은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지형적으로 볼 때 이곳에는 원래
부터 성문이 위치해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후대에 성의 내외를 연결하기 위해 뚫어 놓
은 통로도 애초부터 이곳에 성문이 있었기 때문에 여기에다 통로를 만들었을 것이다 한편이
문지 주변의 양쪽 성벽은 많이 훼손되어 있다 성안 마을을 포함한 주변마을에서 필요한 흙을
채취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성벽을 허물은 듯하다 이곳에서 보면 황토 흙과 마사토의 층이
교대로 겹쳐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만으로는 성벽을 판축으로 축성한 것인지 아니면
단순한 성토에 의해 축성한 것인지 아니면 단순한 성토에 의해 축성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
다 이 동
에서 남쪽으로 약
50m
정도 더 내려가서 동벽은 남벽과 연결된다 그런데 동벽
과 남벽이 연결되는 지점도 역시 직각으로 만나고 있다 성벽이 유실 되어 알 수 없는 남벽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가 직각으로 연결되고 있는 셈이다.
남벽은 현재 성안마을과 외부와의 주 통행로로 이용되고 있는 마을 남쪽의 소로를 가로 질
러서 축성되었던 듯하다 남쪽이 성의 주 방향인 만큼 지형적으로 볼 때 이 남쪽에는 성의 내
외를 연결하는 주 통로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며 아울러 성내의 지형이 북고남저형이라서 성
내의 물이 모두 이곳으로 모이게 되어 있어 이곳에는 수구지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
나 이곳에는 민가가 들어서 있고 또 주변 일대가 논으로 경작되고 있어서 그런지 성벽의 대부
분이 유실되어 현재로서는 그 원형을 찾을 길이
????
없다 다만 동벽과 연결되는 동쪽 부분
일부만이 남아 있다 여기에서 보면 남벽은 동벽과 직각으로 연결되어 구릉의 능선을 타고 마
을 입구에 해당하는 평지로 연결 되었던 듯하다 현재 구릉의 능선에 축조되었던 성벽의 일부
가 남아 있는데 성벽은 다른 성벽과 마찬가지로 안팎으로 높은 지류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149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