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1페이지

148페이지 본문시작

???????????????????????????????
문간공 성 혼
??????????????????????
비 공 민 손
???????????????????????????????
문정공 송시열
???????????????????????????
???????????????????????????????
문순공 박세채
??????
????? (
한국측
)?????
문창공 최치원
??????????? (
중국측
운 공 염 경
???????????????????????????????
문충공 정몽주
??????????????????????
제 공 재 예
???????????????????????????????
문헌공 정여창
??????????????????????
서 공 영 구
???????????????????????????????
문원공 이언적
??????????????????????
오 공 언 언
???????????????????????????????
문성공 이 이
??????????????????????
진 공 전손사
???????????????????????????????
문원공 김장생
??????????????????????
예 공 정 호
???????????????????????????????
문정공 송준길
??????????????????????
휘 공 주 희
이상의 유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성안말 산성
읍내 통 성안말에는 마을 뒤쪽으로 구릉을 에워싼 포곡식의 전형적인 평산성이다 산성은
3
대체로 현재의 성안말의 입구에 해당하는 남쪽을 주 방향으로하여 동쪽 북쪽 서쪽의 능선을
에워싸면서 축조되었는데 동벽과 북벽은 완전하나 서벽의 일부 그리고 남벽은 성벽이 완전히
유실되어 그 통과 선마저 찾아 볼 수 없는 형편이다 얼마 전에 있었던 조사에 의하면 산성은
평산성으로 축조되었지만 다른 여타의 산성들과 마찬가지로 자연지형을 최대로 이용하여 축성
하였기 때문에 성벽의 높이가 수십 길이 되는 곳도 있다.
서벽은 대부분이 잘 남아 있지만 남쪽 일부를 완전히 사라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그러나
능선의 중간쯤에 오르면 성벽이 완연히 눈에 들어오는데 성벽은 저변이
6m
상부의 폭이
2m
가량 되며 높이는 내고가 약
1.5m
외고는
2m
안팎이다 그러나 성벽은 능선을 이용하여 축성
되었기 때문에 실제 높이는 이 보다 휠씬 높다 이 곳에서 능선을 따라 약
50m
쯤 더 올라가
면 경사를 이루던 능선이 평평해 지면서 평탄 대지를 이루는데 이곳은 현재
9m
의 폭으로 성
벽이 끊겨 있다 지금도 과수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성내와 구 온양읍으로 통하는 통로로 이용
되고 있는데 이 곳이 원래부터의 문지이었는지는 자세하지 않다.
원래부터의 문지였다 하더라도 그 폭이
9m
까지는 되지 않았으리라 여겨지는데 최근에 인
위적으로 주변을 정리한 것이 금방 눈에 띈다 이 곳을 지나면 성벽은 다시 경사를 이루며 과
수원을 경작하느라 성내를 개간해서 그런지 내고는 그렇게 높지 않고 성벽의 통과선 만을 확
인 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외벽은 역시 마찬가지로 능선을 이용하여 축성한 관계로 그 높
이가 실제로 축성한 높이 보다 휠씬 높은 수 십길 낭떠러지로 되어 있다 경사진 능선을 따라
구릉의 정상에 오르면 성벽은 동쪽으로 꺽어지면서 북벽을 이루고 있는데 서벽과 북벽이 만나
는 지점은 거의 직각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채롭다 이렇게 두 성벽이 직각을 이루면서 만나는
것은 성벽을 판축하여 축성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되고 있는데 연기군 전동면 읍내리에 있
는 읍내리 산성의 북벽에서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북벽과 동벽이 만나고 있어 주목된 바 있
다.?
현재 북벽은 성의 안팎이 밭으로 경작됨으로 인해 훼손이 심하여 마치 밭둑처럼 약간의 높
이만 남아 있어 그 자세한 내용을 살피기는 어렵다 다만 북벽과 서벽이 만나는 부분만 약
7m

148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