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1페이지

144페이지 본문시작

유생의 수는 부나 목에는
90 ,
명 도호부에는
70 ,
명 군에는
50 ,
명 현에는
30
명으로 정원을 정
하고 교수
1 ( 6 ),
훈도
1 ( 9 ),
학장이 있고 교예가 있었다
향교는 현대와 같이 그 학제가 일정하지 않아 각 고을마다의 차이를 알 수 있으나 중앙 서
울 에 설치한 사학과 같이 이 향교에서 배운 후
1
얻어 신분의 영예를 누렸으며 다시 성균관에 진학할 자격을 얻어 대과 문과라고도 함 를 치를
자격을 얻었다.
향교의 주요 교과목
교과목에는 유학의 경전인 사서 사서
대학 논어 맹자 중용
그리고 오경 오경
시경 서
경 주역 예기 춘추 등이 있고 소학을 처음 배웠다 그 외에 향교에 따라 다소 다르기는 하지
만 일반적으로 근사록 제사 여씨향약 정속이륜행실 등을 주로 가르쳤다
기타 행사활동
우선 춘 추로 두 번 제사 석전 가 있으나 뒤에 설명하기로 하고 써클활동이라 할 수 있는 향
음주례 향사례 양노례 계몽강습회 등 연중행사로 지방문화 교육이 있었다
향교재산
향교의 재정을 운영하기 위하여 고려시대부터 고려 성종
11 )
국자감에 전장을 나라에서
지급하던 것이 유래가 되어 지방 향교에도 토지를 주어 경비를 쓰게 하였는데 조선조 때도
대체로 고려시대의 제도를 이어받아 운영하였으며 영조 때에는 학전의 결수를 규정 국고보조
하여 성균관에는
4
10 ,
결 주 부의 향교에는
7 ,
5
운영케 하였는데 향교에는 결수가 적어 지방 유지로부터 지금의 교육세 비슷한 것을 징수하
기도 하고 유림으로부터 기부금을 받아 축적된
?????
향교 재산으로 운영하였다
이상으로 지방교육기관인 향교의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였으나 향교의 현대의 학교 교육 목
표와 같이 바람직한 인간 형성의 도장이라기보다는 과거를 치루기 위한 즉 훌륭한 양반이 되
기 위한 준비기관으로 전락하며 조선조 중세에 이르러서는 향교와 같은 교육목적을 지닌 서원
이 곳곳에 세워짐에 따라 진정한 교육기관으로서의 면모를 상실하게 되어 다만 문묘의 전통으
로서의 사적이 남아 있을 뿐이다.
전통놀이 및 집단행사
읍내
1
2
성하여 경로잔치 및 효도 관광을 년
1
읍내
2
2
2
을을 대청소하고 다목적 마을광장을 조성하여 자동차 주차장으로 사용한다
읍내
3
이 주차장으로 이용하고 월
2
읍내
4
2
관광 및 경로잔치와 연말연시 불우이웃돕기 우수학생에게 장학금을 전달한다
읍내
5
1
잔치 및 효도관광을 실시하고 소외된 노인들에게 점심식사 제공 등 자원봉사 활동을 한다.

144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