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01페이지

143페이지 본문시작

?????????
지난날 공해는 그 규모가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다음과 같은 부속 건물을 갖
추고 군 행정을 수행 했었다고 한다.
?????????
군수가 공사를 처리하는 동헌을 비롯해서 군수의 관사인 내아 행정 좌 수 별감이
집무하던 향청 호장이 집무하던 작청 회계 사무를 처리하던 공수청군의 장교가 근
무하던 장청 경찰 및 검찰행정을 담당 처리하던 형방 청 노복들이 쓰던 관노청 죄
인들을 가두는 형옥등이 있었다.
?????????
옛 온양군의 공해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면 매우 간략하게만 남아있다
???????????
동헌
: 10
간 아사
: 23
???????????
근민당
각사
: 37
???????????
무학당
간 향청
: 12
???????????
객관
온주아문
전설
연산과 성황사
연산 당산 에는 토성으로 된 성터가 약
400m
정도 남아 있는데 서편에는 일월성신과 자연에
게 국태민안을 기원했던 사진단 터가 남서쪽 언덕에는 일찍이 빙고로 사용 하였던 핑곳재의
잔흔이 남아 있다 현 온양초등학교 터는 온천동으로 시장이 옮겨가기 전까지 주기적으로 장
이 섰다고 한다 그 터는 예전 주민들의 시장기능을 담당하였다고 한다 역사적 사건으로는 고
려 고종
23
(1236 )
년 에 몽고군의
3
전인 현려가 출전하여 적병
200
여명을 죽이고 많
은 병기를 빼앗았는데 고종이 이때에 싸움
에서 승리하게 된 것은 연산에 있는 성황당에 도움으로 여겨 성황당을 성황사로 봉하였다 한
온양향교의 유래
온양향교는 조선조 태조 때 국민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전국 부 군 현에 향교를 설립하는 동
기가 되어 온양 능미 지금의 온양시 법곡동 에 온양향교를 세웠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불운하게도 이 향교가 불에 타 없어져 광해군
2 (1610)
봄 지금의 위
치에 다시 짓게 되었고 몇 번의 증건과 보수를 거쳐 온양교육사의 산 증인으로 오늘의 모습을
간직하게 된 것이다.
향교란
향교란 지방에 있는 문묘와 여기에 부속된 옛날의 공립학교로 일명 교궁 재궁이라고도 한다
고려사에 나타난 고려의 학제를 보면 중국 당나라의 교육제도를 모방하여 중앙에는 국자감,
동서학당을 두었고 지방에는 국자감을 축소한 학교를 설치하였는데
1127 (
년 인종 년
5 ) 3
월에
제주에 학을 세워 널리 도를 가르치라는 조서를 내림으로써 지방교육 기관으로서 향교의 시작
을 엿볼 수 있다 이어 조선조시대에는 많은 사람들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하여
1392 (
년 태조
1
년 에 팔도의 안찰사 즉 지방장관에 명하여
?????????
지방 교육기관으로서의 향교를 더욱 발
전시켜 부 목 군 현에 각각 하나씩 설립케 하였다.

14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