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13페이지

15페이지 본문시작

다음은조선시대에있었던홍성지역의길을탐구하는과정에서그위치를확인할수있
는역(驛),원(院),점(店)에대하여살펴보도록하겠다.
나.역(驛)과길
역(驛)은공적인업무를진행하기위한여행자들에게편의를제공하기위해실시되었던
제도로서 근대이전 교통 체계의중심이다.
6)
역은 여행객의숙박과 음식을 제공할수 있
는 건물인 역사(驛舍), 역마를 대기시키는 마구간인 구사(廐舍), 역의 공적비용을 충당하
기 위한 공수전(公須田), 역의 업무를 맡은 사람들에게 주었던 토지 등으로 마을을 이룬
다.이를바탕으로역리(驛里),또는역촌(驛村)을구성하였다.
7)
나아가역과역을연결짓
는역로(驛路)는조선시대주요교통로로서활용되었고,몇개의역로를묶으면역도(驛道)
가 되었다. 역도는 역과 역을 잇는 역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편성한 것인데, 각
역의기능이제대로발휘될수있도록지리적조건과지방행정구역등을고려하여만들었
다. 중앙집권적인 통치를 실시했던 조선시대에 각 지방 행정구역은 역도 편제 시 중요한
영향을미치는조건으로작용하였다.
8)
조선시대에충청도에는6개의역도가있었고,그중에서홍성지역은충청우도의금정도
(金井道, 청양현 금정역, 현재 청양군 남양면 금정리)에 소속되었다. 당시 금정도 가운데
현재의 홍성지역에 해당하는 홍주목에는 세천역(世川驛, 현재 홍성군 홍동면 원천리 세
천)과용곡역(龍谷驛, 현재청양군화성면용당리용곡)이있었고결성현에는해문역(海門
驛, 현재 홍성군 결성면 무량리 역말)이 있었다. 그 외에 홍주목 주변으로는 예산현의 일
흥역(日興驛, 현재 예산군 오가면 역탑리), 대흥현의 광시역(光時驛, 현재 예산군 광시면
광시리 역말), 보령현의청연역(靑淵驛, 현재 보령시주포면 관산리관말), 덕산현의급천
역(汲泉驛, 현재 예산군 삽교읍 역리], 해미현의 몽웅역(夢熊驛, 현재 서산시 해미면 동암
리역말)등이있었다.
6)『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역촌에서 업무의 수행은 역리(驛吏), 역일수(驛日守), 조역인(助役人), 역노비(驛奴婢)를 통해 이루어졌
다.이들은세습적으로역에소속된사람들로서일반양인과별도의호적으로파악되어운영되었다.
8)양정현,2013,「조선초기의驛道편제와그성격」,고려대대학원한국사학과석사학위논문,p.35.
14_역사를 품고 살아 숨 쉬는, 홍성의 옛길

1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