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28페이지

135페이지 본문시작

고려평장사장공하신도비
통정대부행비서원승겸장례원장례
문성유인철지음
통훈대부행탁지부주사후손규환근서
후손기횡근전
고려은청광록대부문하시랑평장사결성군장공휘(諱)
하(夏) 신도비명병서
청계장공당고려말에옳은도로써임금을섬기며
벼슬하는 동안 청결염백(淸潔廉白)하고 사직을 편안히 하며 벼슬하게 이르러서는 조선에
있어서 정충탁절(精忠卓節)하고 사람들이 지금까지 칭하였다. 공의 휘(諱)는 하(夏)요. 청계(淸
溪)는 호이라. 본래 안동에서 나와 태사정필이 시조가 되니 태사는 김태사 선평(宣平) 권태사
행(幸)과 더불어 삼한의 대공훈이 있어 이후로 벼슬이 이져나와 문하시중 휘(諱) 사에 이르
러결성부원군에봉해졌다.자손이관향을개명하였다.
평장사 휘(諱) 갑(甲) 내금 휘(諱) 열 군수 휘(諱) 용문(用文)공의 증조 및 조부이다. 공은 충숙
왕 병진년에 태어나서 장성하여 공민왕을 섬겼으며 신돈(辛旽)이 부도한 짓을 함으로 대신
과 더불어 이를 참할 것을 청하다 홍무을묘(洪武乙卯) 문하평리(門下評理)에 제수하고 을미 한
양윤(漢陽尹)을 제수받고 신유년에 밀직제학을 제수하다 그 당시에 가뭄이 심하여 기우제를
올려 감응으로 강우하여 석마(錫馬)를 포상받고 갑자년 평양윤(平壤尹)을 제수받고 병인년에
은청관록(銀靑官祿)에 진급하여 문하시랑 평장사 결성군에 봉하였다. 무진년에 외직 경상도
도관찰로 출척하여 정무평시로 하여금 농지를 개량하여 백성으로 혜택을 입게했으며 공은
당시에 공민왕과 공양왕 때에 왕이 정사와 사직에 황태(荒怠)하여 나라가 장차 위태함에 기
울어 목은 이문정공(李文靖公)과 제공(諸公)과 더불어 나라를 기울어지지 않기위하여 만회하고
붓을 들었으나 멀리 귀양가는데 이르러서도 후회함이 없었다. 천명이 항상 인심을 떠나 진
주(眞主)에게로 돌아가니 말하기를 이것을 하늘이 준바라 인력으로 가히 도모할 바가 아니
다 하더라. 드디어 벼슬을 버리고 결성 박철동으로 돌아가 별서 소정을 짓고 거하여 늙을
때까지문밖을나오지않고오직독서로즐겼다.
홍성의금석문_135

135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