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페이지

133페이지 본문시작

1895년에 귀국한 뒤 총리대신 비서관을 거쳐 학부협판이 되었고 춘생문(春生門) 사건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이듬해에 민영환(閔泳煥)을 수행해 러시아 니콜라이 2세의 대관식에 참석하고 유럽과 미국을 거쳐
귀국했다. 귀국 후 1997년 후반부터 서재필(徐載弼)·이상재(李商在) 등이 주도하던 독립협회에 참여해서
만민공동회 등을 주도했고 서재필이 추방당하자 1898년 8월 제2대 회장이 되었다. 독립협회 해산 뒤 러
일전쟁까지 지방관으로 함경도 덕원부윤(德源府尹)·천안군수 등을 지냈다. 러일전쟁 때 일본의‘동양평
화론’
과 유사한‘극동 3국제휴론’
을 주장했으며 일본을 비판하면서도 일본의 승리를 기뻐하기도 했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관직을 사퇴하고 계몽운동에 나섰다. 1906년 장지연(張志淵) 등과 대한자강회(大
韓自强會)를 조직하고 회장이 되어 계몽운동을 전개했다. 1907년에 부친과 자신의 기부금으로 개성에 한
영서원(韓英書院)을 세우고 원장이 되었다. 그 뒤에도 아산 음봉 보통학교(기념비가 있음)·이화여자전문
학교·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등 학교와 병원, 교회 등에 지원을 하기도 했다. 한편 황성(皇城) 기독교청
년회(YMCA, 1903), 신민회(新民會, 1907) 조직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대성학교(大成學校) 교장 재임
중에 이른바 105인사건(1911년)으로 10년형을 선고받고 투옥되었다. 이로 인해 아버지(윤웅렬)의 사망으
로 물려받은 작위(남작)를 1913년에 박탈당했으나 1915년 2월에 친일 전향을 조건으로 석방되었다. 그 후
YMCA 회장, 이화여자전문학교 이사, 연희전문학교 교장, 조선체육회·흥업구락부 회장 등을 역임했으
며 3·1운동을 전후한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친일 활동에 나섰다.
그는 일본의‘독립불용인론’
을 전제로‘자치능력결여론’
을 주장하고 조선의 당면문제는 유해한 독립운
동이 아니라 지적·경제적인 상태의 향상을 통해 민족적 차별을 철폐하는 것이라 주장했다. 1920년대에
는 교풍회(矯風會)·각도인민대표자대회·조선인산업대회 등 친일단체에 적극 참여했다. 1931년 만주사
변 직후에 총독부 관료와 친일 조선인 간의 친목단체인 토요회에 참여했고 1937년 중일전쟁을 전후해 국
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상무이사와 국민총력조선연맹 이사를 지내면서 각종 강연회에 나가‘반도 민중의
협력’
을 강조했다. 1941년에는 황국신민으로서의 충성과 협력에 대한 결의문을 낭독하고 친일세력을 총
망라한 조선임전보국단의 고문으로 일제의 징병에 협력할 것을 적극 권유했다. 1945년에 일본 제국의회
칙선 귀족원의원에 선임되었다. 그러나 그해 8월에 해방이 되고 친일파로 비난받자 결국 12월 6일에 스
스로 목숨을 끊어 생을 마감했다. 묘소는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묘가 있는 아산시 둔포면 석곡1리 해평 윤
씨 종중 묘역에 있다. 저서로〈영어문법첩경〉등이 있으며,
〈의회통화규칙〉
〈이솝 우화〉
〈걸리버 여행
기〉등을 번역했다.
[33] 이규갑
李奎甲
<1888. 11. 5 ~ 1970. 3. 20>
아산 출신의 독립운동 유공자이다. 본관은 덕수(德水)이다. 아버지는 군수 도희(道熙)이고 어머니는 밀양
박(朴)씨 안라이며 독립운동가 규풍(奎豊)의 동생이다. 호는 운호(雲湖)이다. 부인은 이애라(李愛羅)이며
후처는 김이순(金理順)이다. 한성사범학교와 신학교(神學校)를 졸업하고 1907년에 홍주의병에 참가하여
운량관(運糧官)으로 활동했다. 국권을 빼앗긴 뒤에는 비밀결사인 신조선당(新朝鮮黨)을 조직하기도 했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난 뒤 3월 20일 인천 만국공원에서 개최된‘13도 대표자회의’
에 중앙대표로 참
석해서 한성임시정부를 조직하고 평정관(評政官)에 선출되었다. 통합정부 수립을 위해 상해로 가서 대한
132

13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