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8페이지

13페이지 본문시작

족두리는 옛날 몽고에서 여인들이 외출할 때 쓰던 모자였다고 하며 우리 나라에는 고려
말엽에 들어왔는데 그 모양이 왜소화 되어서 모자라기 보다는 미적
장식품으로 변모
되었다
족두리가 널리 보급된 것은 조선 영조시대에 여자늬 얹은머리 를 금지하고 쪽진머리 로
개혁했기 때문에 족두리를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왕비나 세자빈은 칠보 족두리를 썼고
왕자 부인이나 공주 옹주는 목단색 공단 족두리에 목단 산호 진주 등을 곁들여 썼으며 양
반가에서는 의식용으로 소례복
에 족두리를 사용했다
우리나라 족두리는 아래가 둥글고 위는 분명하지 앉은
6
어 머리에 들어 얹고 비녀를 지르게 되어 있다
〔 〕
쓰 개
2
굴레
방한
또는 장식용으로 머리에 쓰는 모자의 하나인데 돌이 된 아기로부터
4
5
지의 어린 아이들에게 남녀 구별없이 씌었다 남자는 남빛 굴레를 씌우고 여자는 자주빛
굴레를 씌웠으며 겨울용은 비단으로 만들고 여름용은 갑사로 만들었다
굴레 앞부분에다 꽃 나비 등의 무늬를 수 놓았고 중심에는 밀화
와 색실 등을 부착
하여 장식 효과를 높였다 그리고 빛깔이 고운 색동거리 라는 상의
를 입혔다
풍차
æ¸
토끼 여우 수달 곰 같은 짐승의 모피로 지은 방한용 두건
을 풍차라고 한다
앞은 이마까지 오고 옆은 귀를 덮게 되어 있으며 뒤로 보면 삼각형이다 남자용은 이
위에 관이나 갓을 쓰며 여자용은 여러 가지 장식을 아름답게 하였다
아얌
겨울에 부녀자들이 나들이 할 때 추위를 막기 위해 머리에 아얌 을 썼는데 이마를 덮어 가
린다는 뜻을 지닌 액엄
이란 말이 변하여 아얌 이 되었다고 전한다
이 아얌은 고운 털로 겉을 싸고 가장자리에
의 검은 털로 선을 둘렀으며 뒤에는 긴
2
3cm
드림을 늘어뜨리는데 이것을 아얌드림 이라 하였다 댕기와 비슷한 검은 자주빛 아얌드림에
는 밀화
또는 금판
으로 만든 매미를 군데군데 달아 장식하였고 앞 이마와 뒤에
는 자주색 또는 검정색 조영
이나 산호주를 꿴 끈이 달려 있고 끝에는 술을 달아 장식
하여 드리웠다
조바위
남바위를 변형시켜 만든 부녀자의 방한모인데 생김새는 아얌과 비슷하나 제물 볼끼가 커
서 귀를 덮었다 아얌은 귀가 덮이지 않고 뒤에다 긴 드림을 늘어 뜨렸는데 이 조바위는 드
림이 없는 대신 귀를 덮어 추운 날씨에도 귀가 시리지 않은 방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너울
부녀자들이 나들이할 때에 얼굴을 가리기 위하여 너울을 착용했는데 조선시대에 내외용
쓰개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조선초기에는 궁중이나 반가
에서만 사용되다가 조선 중기이후부터 일반인까지 널
리 사용되었는데 둥근 삿갓 모양의 원립
에다 자루 모양의 천이 어깨를 덮을 정도로
드리워져 있으며 착용할 때 얼굴이 위치하는 부분은 항라 또는 망사 따위를 대어 앞을 투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궁중에서는 가례
나 상례
때에 왕비 이하 나인
에 이르기까지 너울을 착용했
는데 가례에는 주로 나
를 사용했고 상례에는 생포
나 숙포
를 사용했으며 계
급이나 신분에 따라 천과 빛깔이 달랐다

1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