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10페이지

13페이지 본문시작

자암서법! 自菴書法
자암서법 난정체! 自菴書法 蘭亭?
16세기 추정 / 1첩 / 필본 / 33cm × 21cm
16세기 추정 / 1첩 / 목판본 / 51.7cm × 27.3cm
자암 선생의 해서 친필로 화명和銘을 적은 것이
중국 동진東晋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307
다. 화명은 원元의 유학자 오초려吳草廬의 저작
~365년)의「난정집서蘭亭集序」를 자암선생이
으로『성리대전서性理大全書』에도 실려 있다.
임서臨書한 대자 글씨이다. 목판으로 만들어 인
출한 것이다. 비록 낙관이 없는 임서이지만 자
화명의 본문인“和而不流。訓在中庸。顔之豈。
암 서체의 특징인 필획 굵기의 차이가 거의 없
弟。孔之?恭。孔顔注矣。孰繼遐踵。卓彼先覺。
는 필획은 그의 필적임을 말해준다.
元分淳公。元氣之會。 淳德之鍾。瑞日祥雲。霽
月光風。庭草不除。意思??。天地生物。氣象融
자암선생은 왕희지체를 익혀 인수체를 완성한
融。萬物靜觀。境與天通。四時佳興。樂 與人同。
명필이다. 인수체는 왕희지필법을 배웠지만 왕
泯若圭角。春然心?。如玉之潤。如酒之?。?面
희지와는 다른 필법을 완성한 서체로 그 만의 특
?背。 辭色雍容。待人接物。德 量含洪。和粹之
징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후인들이 인수체라고
氣。?養之功。敢以此語。佩于厥躬”을 한 장에
한 것이다. 같은 글씨를 공부하더라도 필자의 성
쓴 것을 가위로 오려 전첩본으로 만들었다.
정性情에 따라 각자 다른 특징적인 필획과 결구
로 표현된다. 이 필첩은 인수체의 발생과정을 잘
낙관은 다른 곳에서 오려 붙인 것으로 자암 자신
보여주고 있다.
이 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자암이‘?’
자를 쓴 것으로 보아도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희우정기! 喜雨亭記
16세기 추정 / 1첩 / 목판본 / 40cm × 28.5cm
이 필첩은 당唐 소식蘇軾의「희우정기」를 초서草
書로 적은 것이다. 이는 다른 글씨와 달리 작품화
한 것을 목판으로 인출한 것이다. 그리고「희우정
기」는 유일하게 자암 선생의 낙관落款이 있다. 다
만이는후낙後洛으로해서楷書로낙관하였다.
「희우정기」는 단순한 필사의 개념으로 적은 것
이 아니라 작품의 개념으로 서사한 것이다. 그래
서 다른 글씨와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는 그의
필획과 결구, 그리고 장법까지도 완전하게 살필
수 있는 그의 특징이 잘 나타나있는 초서작품이
다. 비록 목판본이지만 인수체의 초서연구에 있
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1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