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4페이지

127페이지 본문시작

2018
2018
제52호
제52호
지역학 칼럼
예산학 특강 - 秋史 美感의 現代化 可能性 考察
서를 서법의 근본으로 보았는데 동한(東漢) 예(隸)보다 서한(西漢) 예(隸)와 한경명(漢鏡銘)을 더욱
치에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이런 시도도 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한다.
선호하였다. 방경고졸(方勁古拙)과 청고고아(淸高古雅)를 예서의 최고 가치로 구현하려 했으며, 결
2. 한국미학의 원류와 추사
구와 문자의 조형미에선 양식에 얽매이지 않는 개성을 강하게 표출하였다. 수렴과 개방이 자재로운
용필의 변화에서 돌파를 찾은 추사 예서의 조형은 과장처리가 다양하며 장식성이 풍부하다. 그래서
한국적 미학의 원류를 종전에는 반구대 암각화, 천진리 암각화, 고령 양전동 암각화와 같은 청동
파격적이며 기괴하기도 하고 어수룩하기도 하여 과 같은 ‘동치(童稚)의 미(美)’를 자랑하
기시대 암각화에서 그 시원을 찾았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가 한국미술
기도 한다. 총체적으로 그의 서품(書品)에는 알게 모르게 서법의 지식이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그런
의 시원이라는 인식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빗살무늬 토기는 한반도에서 최초로 등장한 조
힘으로 격조(格調)와 신운(神韻)을 얻고, 그것이 추사 글씨의 최고 미학(美學)으로 평가되는 거속(
형(토기)과 문양이다.
去俗)과 탈속(脫俗)의 경지로 나아가게 한 것이다.
빛살무늬 토기는 한반도 역사의 여명기에 등장한 문화적 신호탄으로서, 수렵생활이 끝나고 농경
추사 예서는 양한(兩漢) 예(隸) 중에서 파임이 없는 서한(西漢) 예서를 높게 평가하고 그 필의를
생활이 시작되면서 수확물을 담고 저장할 필요에서 발명된 그릇이다. 여기에 원시인들은 그들의 원
추구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추사 미감이 서한 예서를 좋아한 것은 기교가 없고 순박하며 고졸한 품
시종교를 반영하여 주술적인 문양을 남겼다. 빗살무늬가 바로 그러한 것으로 그것은 그 시대 문화
격이 그의 성정에 들어맞았기 때문이다. 추사 예서의 등장으로 곡운(谷雲) 김수증(金壽增, 1624-
와 사상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이다. 한반도의 선민들은 천손족(天孫族)으로 자처하고 태양을
1701)이나 죽천(竹泉) 김진규(金鎭圭, 1658-1716)의 글씨로 대표되던 조선 예서는 퇴장되었다. 즉
숭배하면서 그들의 주술적 기원을 태양의 빗살로서 토기에 새겼다. 마치 둥그스럼한 토기를 태양의
예서의 품격과 체세가 한 차원 높아진 것이다.
대행물인 듯 그 표면에 빙둘러가며 태양의 광명을 둘러쳤다. 빛살무늬 토기의 아가리를 엎어놓고 표
‘문자향 서권기(文字香 書卷氣)’를 글씨의 미학적 철학으로 인식한 추사는 서격(書格) 속에 화격(
면의 문양을 평면으로 환치하면 그대로 해바라기와 같은 모양의 태양문(太陽紋)이 된다. 그런 빛살
畵格)을, 화격 속에 서격을 나타내어야 생명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추사의 작품은 고전의 형사(
무늬가 한국미술의 시원이다. 태양을 숭배하면서 밝고 환한 사유를 하고 모든 것을 이롭게 하자는
形寫)를 버리고 사의(寫意)의 정신을 투득(透得)하는데 역점을 둠으로써 예술의 생명인 개성 창출에
원리가 홍익사상(弘益思想)이다. 빛살무늬는 단순한 문양이 아니다. 원초적인 생명의 에너지원으로
성공하였다. 그 결과 추사의 예술은 근대성을 뛰어넘어 방경고졸(方勁古拙)한과 직절입묘(直截入妙
서 자연과 인간을 살려 널리 이롭게 하자는 무늬이다. 그래서 한반도에서 최초로 등장하여 한국미
)의 공간처리로 오히려 현대적 감각에 육박하고도 남음이 있다할 수준을 보였다.
의 원류가 되고 한국미술의 시원이 된 것이 빛살무늬이다. 그러한 빛살무늬의 원류에서 시원하여
와 이 그 대표적 예라고 하겠다. 추사의 서품(書品)을 보고 필묵을 잘 모르는
생성된 한국미학의 본질은 그러면 무엇일까? 그것은 천손족이 지닌 본래의 정서와 감정인 밝디 밝
미술가들도 감탄하는 요소가 바로 이런 것이다.
은 생명, 그것을 살리는 길이다. 그 길의 근본 미학은 ‘밝음의 미학’ 그것이 한국미학의 본질적 프리
추사는 서예의 조형을 이미 시각적 언어로 인식했음이 작품의 실제에서 증명되고 있다. 획질(劃質
즘이다.
)의 경중(輕重), 청탁(淸濁), 소밀(疏密), 명암(明暗)을 비롯하여 대소자의 배합, 좌우 방서(傍書)의
수천 년간 우리 민족의 무의식 속에 저장되어 내려온 문양, 곧 토기나 기와에 찍힌 거친 삼배자국
구도적 계산, 색지(色紙)의 사용 등 문자의 조형 속에 작가의 표정을 싣는 새로운 서예형식과 포국
이다. 그래서 공명통이 더 크게 울린 것이다. 문화의 풍토와 체질에서 우러나온 고유한 미감은 시대
(布局)적 방법을 이끌어 서예의 근대성을 선도하였다. 추사예술의 성격은 당시 개화의 물결이 일던
적 감각을 호흡한다 하더라도 변할 수 없는 요소가 있다. 소위 문화의 DNA이다.
시대적 배경에 힘입어 참신과 변화를 요구하던 신진문인들의 세력과 중인 계급에 널리 확산되어 추
글씨의 핵심은 무엇보다 필획이다. 글자가 점획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획이 한반도
사의 예술과 학문을 추종하는 예단이 형성됨으로써, 19세기 조선 후반기의 문예사조를 변혁시키고
에서 가장 오해 된 것은 신석기시대 빛살무늬이다. 그 다음이 청동기시대 반구대와 천진리 암각화
이끌어 나가는 힘이 되었다.
에 나타나 있는 획, 또 그 다음이 광개토호태왕비의 필획이다. 이러한 획의 공통점은 고졸한 생명력
이상이 추사체의 특징과 근대적 성격을 나름대로 요약해 본 결과이다. 이제 이러한 추사체의 특
이 특징이다. 추사체의 필획과 공통된다. 추사체의 괴(怪)도 여기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추사체
질을 참고삼아 추사 서예가 지닌 미적 원류를 한국적 미학의 관점에서 한 번 찾아보자. 이러한 시
의 험괴는 꾸미지 않는 검박(儉朴)의 미, 교(巧)가 아닌 졸(拙)의 미가 지닌 개성을 뜻한다. 고대의
도는 사실 막막한 것이며 처음 시도되는 것이기 때문에 논리전개에 공감을 할 수 없을 수도 모른다.
암각화의 특성이 모두 그러하다. 암각화와 광개토호태왕비의 방경고졸(方勁古拙) 미는 추사가 예서
그러나 우리가 자랑하는 추사예술이 한국 미술의 본원(本源)으로 환원하고 민족미술의 우뚝한 위
126 ?
? 127

127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