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6페이지

14페이지 본문시작

빚고, 술과 음식을 장만해 가지고 산이나 계곡에 가서 단풍놀이를 하기도 한다. 부녀자?소년?
소녀들은 제각기 무리 지어 하루를 즐기고, 문인들은 시를 짓고 풍월을 읊어 주흥을 즐긴다. 또
이때쯤이면 약초가 한고비를 이루는데, 구절 초는 이때 가장 약효가 좋다고 하여 산이나 들에 나가
뜯기도 한다.
■ 상달고사의 어원
상달고사란 음력 10월에 집안의 안녕을 위하여 가신(家 )들에게 올리는 의례를 말한다. 고사
라는 말은 세시풍속상에서 안택(
)이라는 말과 혼동되어서 구분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은 양자가 가정단위의 제사이며, 아울러 성주?조상?터주?조왕?삼신 등 모시는 대
상신들도 같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사는 주로 상달고사를 말하며 추수에 대한 감사의 의미가 강하고,
안택은 주로 정월에 행해지며 연초의 액막이 및 행운기원의 의미가 강하다는 점에서 양자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고사 혹은 안택이라는 이름은 중부를 포함한 중부이북지방에 분포되어 있고, 영호남 지방에서는
도신(
) 또는 도신제라 부른다. 최남선은《조선상식(
에서 '고시레?고사?굿'을 같은
어원으로 보고 있다. 더불어 그는 비교적 규모가 작은 의례를 '고시레'라 하고, '고사'는 굿의 규모는
아닌 중간 정도의 의례를 말하며, 장구를 울리고 무악(
)을 갖추어 춤을 추는 등 규모가 가장
큰 의례를 '굿'이라고 하였다.
■ 상달고사의 유래
상달고사의 유래에 대해서는 상세히 전하는 바가 없으며 다만 옛기록을 통하여 추측해 볼 수 있을
뿐이다. 최남선은《조선상식문답(
에서 "상달은 10월을 말하며, 이 시기는 일 년내
농사가 마무리되고 신곡신과( 穀 果)를 수확하여 하늘과 조상께 감사의 예를 올리는 기간 이다.
따라서 10월은 풍성한 수확과 더불어 신과 인간이 함께 즐기게 되는 달로서 열두달 가운데 으뜸
가는 달로 생각하여 상달이라 하였다."라고 풀이하고 있다.
이러한 상달에는 예로부터 무수한 종교적 행사가 전승되어 왔다. 고대에는 고구려의 동맹
), 예의 무천(
), 부여의 영고( 鼓) 등 추수감사의 의미를 내포하는 제천의식이 있었다.
고려 때에는 팔관회( 關 )가 그 맥을 이은 것으로 보이며, 조선시대에는 민가에서 고사 혹은
안택으로 전승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렇게 볼 때 상달고사의 유래는 고대 국가행사인 제천의
식에서 가정의례로 변모하여 전승되었으리라 짐작된다.
14 |
2010_10

14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