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80페이지

117페이지 본문시작

[1] 강석주
姜奭周
< 1896. 9. 18 ~ 1950. 7. 16 >
아산 출신의 독립운동 유공자이다. 송악면 동화리 출신으로 1917년에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에 가입하
여 군자금 수합 및 친일 부호 처단에 참여했다. 대한광복회는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과 조선국권회복단
(朝鮮國權恢復團)이 1915년에 통합하여 결성된 혁명적 민족운동단체였다. 국내에서 군자금을 조달하여
만주(滿洲)의 독립군 기지에서 혁명군을 양성하고 국내에 확보한 혁명 기지를 거점으로 적시에 봉기하여
독립을 쟁취할 것을 계획했다. 비밀·폭동·암살·명령 등 4대 강령이 행동지침이었다. 각처에 곡물상
등을 설립하여 혁명기지로 삼는 한편 혁명 계획은 군자금 조달, 독립군 및 혁명군의 기지 건설, 의협 투쟁
으로서의 총독 처단과 친일 부호 처단 등으로 추진되었다.
그는 대한광복회의 충청도 조직에 가담하여 김재창(金在昶)·김경태(金敬泰)·엄정섭(嚴正燮) 등의 동
지와 함께 군자금 수합에 힘쓰는 한편 인천에 연락 거점을 확보하기도 하였다. 1918년 1월에 친일파인
당시 아산군 도고면장(道高面長) 박용하(朴容夏)를 처단할 때, 이에 앞서 임봉주(林鳳柱)·김경태 등과 함
께 그의 집에서 광복회의 처단 고시문(告示文)을 작성하는 등 친일파 응징에도 참여하였다. 그러나 그로
인해 조직이 발각됨으로서 그는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모진 고문을 당하다가 그 해 10월 면소(免訴)되었
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2] 강태건
姜泰建
< ? ~ ? >
한말의 의병이다. 본관은 진주(晉州)로 아산군 송악면 동화리 출신이다. 1906년의 홍주의병 항전에 참
가하여 용전(勇戰)했다. 이후에도 1912년에 고종의 밀명으로 임병찬(林秉瓚) 등 유림이 주도하여 조직한
독립의군부(獨立義軍府)에 가담하여 온양 일대에서 동지들을 모으고 자금을 모으는 등 국권회복 운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1913년과 1915년에 경성지방법원에서 재판을 받았다.
[3] 곽한일
郭漢一
<1869(고종 6년) ~ 1936. 3. 26 >
아산시 송악면 평촌리 출신으로 한말의 항일 의병장이다.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1851년(철종 2년)의 알
성시에 장원급제하고 동부승지를 지낸 부호군 치섭(致燮)의 손자이고 승현(升鉉)의 장남이다. 경기도 여
주에서 출생하였으나 뒤에 부친이 송악으로 이주하였다. 자는 원우(元佑)이고 호는 장암(壯庵)이며 면암
최익현(崔益鉉)의 문인이다.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가 시해당한 을미사변이 일어나자 그 이듬해에 안성에서 의병 활동에 참여하
였다. 일본군과 진위대 관군의 공격으로 아산·예산·청양 등지로 피하여 때를 엿보다가 고종의 의병 해
산 권고 조칙에 따라 활동이 중단되었다. 그 후 1905년(고종 42)에 일제의 강요로 체결된 을사늑약에 의
해 나라가 실질적으로 반식민지가 되자 1906년 초에 동지 남규진(南圭振)과 함께 최익현을 찾아갔다. 최
116

117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