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85페이지

103페이지 본문시작

者養此也 應物而求合其則者養此也 而猶?然於心 食息之或怠是懼凡寓目者必
寓警焉 亭游宴之所也而名之 亦以此苟有是心所觀所聞所坐所臥者 何莫非養性
之助也 觀山之靜也 思所以吾心之本休寂然而不動 觀水之流也 思所以吾心之大
用周行而不滯 竹取其中通而有節 松愛其勁立後凋 山也水也松也竹也一閑物也
能助於養性之功如是 至於明花細草生意?然 澄沼月色絶無纖埃 抑不知沙溪公
養之之樂亦有得於斯者耶 古之人充養之道 無所不用其極而得之 物者亦多有遠
取諸物 而畵出至理者 有曰仁者似山智者似水 有不除庭草者有採菊 而悠然者 靜
觀萬物皆有至理 而衆人觀之 則峙者徒知其爲山 流者徒知其爲水 草木徒知爲草
木也 君子觀之 則峙者必知其所以峙 流者必知其所以流 草木必知其所以爲草木
旣得其萬物之所以然 則鳶飛魚躍上下 昭著滿山靑黃 無非太極一源洞澈彼此無
間 體之於吾身 得之於吾心 其於養之之功 不其大矣乎 然則山??而呈翠水??
而鳴除 上下塘雲影徘徊蒼松脩竹左右森立者 此亭之所以爲勝而養性之得其助
者非一物矣 況葛巾草? ?冠童五六之人 或容與於?汀桃蹊 或輕艇小楫遡流長
川 閒情雅興遇物怡然依?有舞雩之意 則與其結組飄纓抵死乾沒者 孰樂孰苦其
養之與先之之相去復何如也 噫世已亂後人已亡矣 自栗谷樑?之後繼而作者泯
泯無聞 惟沙溪公積學積德爲後學倡繼 自今牢守窮巷益勉 其所未盡者 使如僕?
? 摘垣於?途者 庶有所庇依此 僕所望於沙溪公者也 僕所以不力老而無聞逮此
禦魅 與死爲隣中宵無寐慨然 與懷愧負平生師友之望 天其或者玉汝於成 使之動
心因性於窮荒困悴之中以大其志業也 爪歸投笏相從於寂寞之中 ?放養桔顧此
名而共?也 至於擴而施之於事業則時耶命耶 孰使之然耶 孰使之不然耶 非吾所
可期也
時 萬曆 癸卯 觀燈日 草溪 後人 鄭曄記
<번역문>
양성당기
사계 김장생 공(公)께서 임인년(1602)에 연산(連山)의 선산 아래로 돌아와, 옛날에
정자가 있던 곳에 거주했으니 이는 바로 유학자인 최청강 공이 지은 것이다. 그
뒤에 후손들이 잘 지키지 못하여 사계 공의 큰할아버지가 구입해 가졌으니, 정자가
김씨 집안으로 들어간 지 세 세대였다. 정유재란 때 적병이 충청도를 헤집고 다니니
편액과 기문
103

103페이지 본문끝



현재 포커스의 아래내용들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지고 페이지넘김 효과및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므로 스크린리더 사용자는 여기까지만 낭독하시고 위의 페이지이동 링크를 사용하여 다음페이지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상단메뉴 바로가기 단축키안내 : 이전페이지는 좌측방향키, 다음페이지는 우측방향키, 첫페이지는 상단방향키, 마지막페이지는 하단방향키, 좌측확대축소는 insert키, 우측확대축소는 delete키